본문 바로가기
주식

[주식] 미국 배당주 종목 분석 '킴벌리클라크 Kimberly Clark (KMB)'

by 리더라이터 2023. 12. 1.

킴벌리클라크 Kimberly Clark (KMB)

 킬벌리클라크 Kimberly Clark는 1980년 3월 17일에 NYSE(뉴욕증권거래소)에 상장된 미용 및 가정용품 종목입니다. 주요 사업은 필수소비재로 종이를 재료로 한 소비재 제품을 생산하는 회사입니다. 킴벌리클라크가 생산하는 주요 제품으로는 화장지, 휴지, 종이 타월, 물티슈, 여행용 티슈, 기저귀, 여성 위생용품, 외과용 팩, 가운, 열균 랩, 일회용 마스크, 특수 의료용 종이 등이 있습니다. 세계적인 브랜드 또한 많이 보유하고 있으며, 대표적인 브랜드로는 화장지 브랜드 크리넥스, 여성용 생리 제품 코텍스, 기저귀 하기스, 요실금 및 성인용 기저귀 디펜드, 질긴 재질의 화장지 비바가 있습니다. 영국 엘리자베스 2세 여왕과 찰스 황태자로부터 영국 왕실에 제품을 공급할 수 있는 왕립 보증서를 받은 바 있습니다. 

 

https://www.kimberly-clark.com/en-us/

 

Kimberly-Clark Corporation

Kimberly-Clark (NYSE: KMB) and its trusted brands are an indispensable part of life for people in more than 175 countries. Fueled by ingenuity, creativity, and an understanding of people’s most essential needs, we create products that help individuals ex

www.kimberly-clark.com

 

 

배당 정보

 

 킴벌리 클라크에 대한 배당정보를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배당수익률은 3.87%입니다. 배당수익률은 주가 대비 배당금을 얼마나 받을 수 있느냐를 의미하는데요. 수익률 자체만으로는 저배당 혹은 중배당 수준이라고 판단됩니다. 해당 수익률이 낮아보이는 것인지 높아보이는 것인지 적정한 것인지는 뒤에서 상세히 다루어보겠습니다.

 배당금은 4.72달러입니다. 이는 킴벌리 클라크를 1년 간 1주 가지고 있으면 배당금으로 4.72달러가 지급된다는 의미입니다. 단순히 배당금만으로는 배당을 많이 주는 것인지 적게 주는 것인지 알 수가 없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위의 배당수익률이 중요한 지표가 됩니다.

 배당성향은 71.21% 입니다. 최근 배당주 분석 중에 꽤 높은 편에 속하네요. 배당성향은 기업이 일정 기간에 기록한 당기 순이익 중에서 주주에게 지급되는 배당금 총액의 비율입니다. 배당성향이 약 70% 라는 의미는 순 이익의 70%를 주주들에게 환원한다는 의미이고 투자로는 30% 정도로 할당한다는 의미입니다.

 배당수익률은 5년 기준으로 3.43% 입니다. 그리고 배당을 꾸준히 늘려 온 기간은 50년이네요. 50년 동안 꾸준히 배당을 성장시켜왔고 최근 5년 기준으로는 연 평균 3.43% 라고 해석이 됩니다. 

 최근 배당공지를 살펴보겠습니다. 2023년 12월 7일 배당락을 예정으로 2024년 1월 3일에 1.18 달러가 지급될 예정이네요. 이 글을 쓰고 있는 시점에서는 곧 배당락일이 다가오기 때문에 분석 후 매수 여부를 결정해보면 좋을 것 같습니다. 킴벌리 클라크는 분기배당으로 1월 배당주, 4월 배당주, 7월 배당주, 10월 배당주에 해당되겠습니다. 포트폴리오 구성 시 참고 바랍니다. 

 

 

 

 

배당 수익률 Dividend Yield

 

 배당 수익률을 살펴보겠습니다. 배당수익률은 주가에 비해 배당금을 얼마나 많이 주는지를 의미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어느 정도 미리 공지가 되어 고정적인 배당금과 다르게 주가는 계속 변동되는 부분이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배당수익률 또한 변동이 됩니다. 위의 그래프를 보면 2020년도 초반에 급격히 배당수익률이 상승하고 내려오는 모습을 볼 수 있는데요. 이는 2020년 초에 코로나 영향으로 주가가 하락하면서 상대적으로 배당수익률이 높아졌음을 알 수 있는 대목입니다. 계속 변동되는 배당수익율은 동일 연도에서도 여러 수치로 표현될 수 있습니다. 연말 기준 수익률, 평균 수익률, 최대 수익률, 최소 수익률 등으로 말이죠. 저희는 추세를 확인하기 위해 평균 수익률을 채택하여 설명해보자면 2013년 평균 수익률은 3.08% 였으며, 2023년에는 3.59%를 보이고 있습니다. 전반적으로 2~3% 대의 수익률을 유지하는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저배당주에 속하는 수익률이라고 판단됩니다. 수익률 자체만으로는 투자하기 조금 아쉬운 모습입니다. 다른 지표를 살펴보겠습니다. 

 

 

 

배당 성장률 Dividend Growth

 

 

 배당성장률을 살펴보겠습니다. 배당성장률은 일정 기간 동안 주당 배당금이 얼마나 늘어났는지를 의미하는 것입니다. 위의 그래프를 보면 2013년부터 2022년까지 조금씩 계속 배당금이 상승하는 모습을 볼 수 있고 데이터를 보자면 2013년에 3.1054 달러의 배당금이 2022년에는 4.64 달러로 성장했음을 알 수 있습니다. 많이 성장한 것인지 적게 성장한 것인지 조금 헷갈리시죠? 계속해서 배당금이 성장하고 있지만 배당성장 수준은 매년 달라지고 있습니다. 이럴 때 비교해보면 좋은 것이 CAGR인데요. CAGR이란 Compond Annual Growth Rate로 어떤 시점에 제가 투자를 했다고 가정하면 그로부터 지금까지 그 투자의 배당금도 재투자를 지속적으로 해왔을 때 연간 수익률을 계산해둔 지표입니다. 위의 표에서 예를 들면 제가 2013년에 킴벌리를 매수했다면 그 배당금을 재투자하면서 2022년까지 계속 투자했다면 1.75%의 수익률 수준이라는 것이죠. 10년을 투자했는데 연 평균 1.75%. 조금 아쉬운 수준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Price & Dividend History

 

 배당금과 주가를 살펴보겠습니다. 배당금은 분명히 오르고 있습니다. 상승률이 낮을 뿐이죠 그에 비해 주가는 오르고 내리고를 반복하고 있으며 큰 우상향이나 우하향 등의 형태를 보이고 있지 않습니다. 배당 성장도 아쉬운데 주가의 상승도 없으니 시세차익을 노리기도 애매하군요. 

 

 

 

매출 및 영업이익

 

 주식 종목을 선택함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건 기업의 실적이겠죠. 여러 실적 지표 중 대표적인 매출과 영업이익을 살펴보겠습니다. 위의 그래프 중 왼쪽은 매출, 오른쪽은 영업이익을 나타내며 2013년부터 2022년까지의 실적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매출은 2016년까지 하락하다가 갑자기 오름세로 전환되는 모습이구요. 영업이익은 2015년에 매우 저조하다가 회복하고 다시 절반 이하 수준으로 내렸다가 오르는 모습 등 안정적이지 못한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종합 의견 입니다 킴벌르 클라크는 50년 동안 배당을 성장시키고 있지만 그 성장률이 높지 않고 배당 수익률 자체도 높지 않아서 당장의 수익 효과를 보기 어려워 보입니다. 장기적인 투자 관점에서도 매출과 영업이익이 안정적으로 우상향 하는 모습이 아니기 때문에 이 마저도 조금은 조심스럽네요. 현 시점에서는 보류입니다. 저만의 기준일 뿐 의견은 참고만 하시고 투자의 선택에 신중하시길 바랍니다. 

 

미국 배당주에 관심이 있고 책을 통해서 개념적으로 공부를 하고 싶다면 아래 책을 추천합니다. 아래 책을 읽고 이 글을 작성하고 있으며 개인적으로는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2023.11.13 - [독서노트] - [독서노트] 배당주로 월 500만 원 따박따박 받는 법 (김수현)

 

[독서노트] 배당주로 월 500만 원 따박따박 받는 법 (김수현)

보유할 땐 현금흐름을, 매도할 땐 시세차익을! 금리가 오르면 시장에는 유동성이 줄어들어 시세차익을 노리는 주식 투자는 어려워지게 될 것이다. 그렇다면 증시가 다시 살아날 경우 배당주 투

readerwriterb.tistory.com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