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

[주식] 미국 배당주 종목 분석 'PPG인더스트리스(PPG)'

by 리더라이터 2023. 12. 5.

PPG 인더스트리스 (PPG)

 PPG Industries (PPG)는 1945년 12월 17일 NYSE(뉴욕증권거래소)에 상장된 화학소재 관련 종목이며 주요 사업은 건설, 건축 관련입니다. 1883년에 설립되었으며 페인트, 코팅 제품, 시력 보완 관련 제품, 첨단 소재, 유리 섬유 등을 생산하는 자재회사입니다. PPG는 교통, 소비재, 건축, 산업 등 다양한 업종 내 기업들을 고객으로 삼고 있습니다. 1900년대 초 동사는 빠르게 성장하여 미국 판유리 시장 내 65% 점유율을 보유했고 미국 내 두 번째 규모의 페인트 생산 회사로 발돋움했습니다. 현재 미국 19개 주에 45개, 남미, 중남미 10개 국가에 14개, 유럽, 중동, 아프리카 29개 국가에 64개, 아시아, 태평양 12개 국가에 33개 등 전세계 52개 국가에 총 156개에 달하는 화학 제품 유리, 유리 섬유, 코팅 제품 제조 시설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https://www.ppg.com/en-US

 

Paint, Stain, Auto Coatings, Packaging Coatings & more @ PPG

Through leadership in innovation, sustainability and color, PPG helps customers in industrial, transportation, consumer products, and construction markets and aftermarkets to enhance more surfaces in more ways than does any other company.

www.ppg.com

 

배당 정보

 

 

 PPG에 대한 배당을 살펴보겠습니다. 배당은 기업이 영업 활동을 통해 벌어들인 이익의 일부를 주주에게 분배하고자 지금되는 돈이라는 개념을 생각하면서 분석해보겠습니다.

 먼저 배당수익률은 1.81%입니다. 배당수익률은 주가 대비 배당금을 얼마나 받을 수 있느냐를 의미하는 것으로 배당수익률만으로는 투자 여부를 결정할 수 없습니다. 상세 내용은 뒤에서 별도로 다루겠습니다.

 배당금은 2.6 달러네요. 이는 PPG 주식 1주를 보유하고 있을 때 1년 간 받을 수 있는 배당금을 의미합니다. 

 배당성향은 34.10% 이네요. 배당성향은 일정 기간동안 기록한 당기 순이익 중에서 주주에게 지급된 배당금의 총액 비율입니다. 배당주 종목이지만 투자 비중이 더 큰 기업이네요. 배당성향으로는 이미 성장이 완료되어 안정적인 수익 흐름이 있는 기업인지, 향후 더 적극적인 투자를 통해 성장을 하겠다는 의지를 가진 기업인지를 가늠할 수 있습니다.

 배당성장은 5년 기준으로 6.42%입니다. 개인적으로는 꽤 높은 수준의 배당성장으로 보여집니다. 제가 5년 전에 PPG를 매수했다면 그리고 그 배당금을 계속해서 재 투자를 했다는 가정하에 연 평균 6.43% 수준의 성장을 이루었다는 이야기입니다. 이 부분도 뒤에서 상세히 살펴보겠습니다. 이러한 배당 성장은 51년간 이어졌습니다. 지속적으로 배당금을 늘려온 기간이 50년이 넘었다니. 이 부분도 상당히 의미가 있습니다.

 최근 배당공지를 살펴보겠습니다. 2023년 11월 9일 배당락을 기점으로 2023년 12월 12일에 0.65 달러의 배당금이 지급될 예정입니다. PPG는 분기배당으로 3월 배당주, 6월 배당주, 9월 배당주, 12월 배당주에 해당되겠네요. 포트폴리오 구성 시 참고 바랍니다. 

 

 

 

 

배당 수익률 Dividend Yield

 

 배당수익률을 살펴보겠습니다. 먼저 배당수익률이란 주가에 비해 배당금을 얼마나 많이 주는지를 의미합니다. 배당주 투자에 있어서 많은 분들이 제일 먼저 관심을 가지는 수치 중 하나인데요. 주가 변동에 의해서 수익률도 반비례로 변하는 부분이기 때문에 상세히 들여다보아야 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배당수익률을 논할 때는 연말 수익률, 평균 수익률, 최대 수익률, 최소 수익률 등 여러의미가 있기 때문에 어떤 수익률을 말하는지를 잘 파악해야 합니다. 저희는 추세를 보기 위함이니 평균 수익률을 확인해보겠습니다. 2013년의 경우 1.3%의 수익률이 2023년에는 1.84% 수준으로 확인됩니다. 전반적으로 1%대의 배당수익률이고 이는 배당수익률만으로 정리하면 저배당주에 속합니다. 다만 주가가 계속 상승하고 있다면 배당수익률이 낮아보이는 효과가 있기 때문에 다른 지표도 더 살펴보겠습니다. 

 

 

배당 성장률 Dividend Growth

 

 제가 배당주 종목 분석에 있어서 중요하게 보는 지표 중 하나인 배당성장률입니다. 배당성장률을 보니 저는 매우 관심이 많이 생겼습니다. 최근 10년의 데이터를 보면 2013년에 1.21달러의 배당금이 2023년에 2.54달러로 성장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달러의 수치가 낮아서 와닿지 않으신가요. 배당 성장률을 살펴보겠습니다. 이럴 때 CAGR를 살펴보면 도움이 되는데요. CAGR은 Compound Annual Growth Rate를 의미하는데 예를 들어 제가 2013년에 PPG 종목을 투자했고 지급되는 배당금도 계속 재투자를 했다면 현재까지 연 평균 7.7% 수준의 성장을 해왔다는 의미입니다. 10년 간 연평균 7%의 수익률이라니. 시세차익을 노린 주식 투자도 해보았지만 연 평균 7%의 꾸준한 수익이 정말 어렵고 대단한 것이라는 것을 깨달았습니다. 전반적으로 안정적인 성장세를 보이고 있기 때문에 장기투자를 함에 있어서도 매력적인 부분이 아닐 수 없습니다. 

 배당성장률이 중요한 이유는 바로 복리 효과 때문입니다. 투자를 공부하셨던 분들이라면 복리의 효과에 대해서 많이 들어보셨을텐데요. 배당성장률이 높다는 것은 시간이 지날수록 받게 되는 배당금이 늘어난다는 것을 의미하고 이를 재투자했을 경우 복리효과는 엄청나게 커지는 것이죠. 장기적은 배당주 투자를 하시는 분들이라면 배당성장률을 꼭 확인하셔야 합니다. 

 

 

Price & Dividend History

 

 

 배당금과 주가를 비교해보겠습니다. 배당금은 앞서 50년 이상동안 배당금을 늘려왔고 최근의 10년간의 배당성장도 확인하였습니다. 반면에 주가는 빠른속도는 아니지만 조금씩 우상향하는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상승하는 배당주와 상승하는 주가에 의해 배당수익률은 1%대를 유지하는 것으로 판단되네요. 즉 배당수익률만 보면 매력적이지 않지만 장기적으로 배당성장과 주가상승에 의한 시세차익을 생각한다면 충분히 매력적이라고 정리할 수 있겠습니다. 

 

 

 

매출 및 영업이익

 

 종목 분석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은 기업의 실적이니다. 기업의 실적을 대표하는 지표는 여러가지가 있지만 그 중에서도 가장 대표적인 매출과 영업이익에 대해서 확인해보겠습니다. 위의 그래프에서 왼쪽은 매출, 오른쪽은 영업이익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2013년부터 2022년까지의 데이터입니다.

 먼저 매출을 보면 전반적으로 우상향하는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2020년도에는 매출이 급격히 하락하는 모습을 볼 수 있는데요. 아마도 코로나의 영향이 있었을 것으로 판단됩니다. 다만 바로 직후 년도인 2021년에 직전 년도 2019년보다도 훨씬 높은 매출을 보이고 있어서 일시적인 외부 환경에 의한 매출 하락으로 보여집니다. 다만 오른쪽의 영업이익을 살펴보면 다소 우하향 혹은 횡보하는 모습으로 보여집니다. 매출은 오르는데 영업이익이 다소 부진하다고 느껴질 수 있는 부분인데요. 아마도 다른 부분에서 매출에 기여하고 있는 부분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종합적인 의견입니다. PPG는 50년 이상동안 배당금을 늘려오고 있고 최근 배당성장을 확인했을 때도 안정적이고 높은 수준의 성장을 보이고 있습니다. 배당수익률이 당장은 높은 편이 아니지만 장기적으로 보았을 때는 충분히 투자할 만한 가치가 있는 종목이라고 생각됩니다. 영업이익 측면에서는 강한 우상향이 아니라서 다소 아쉬운 점이 있지만 이 부분은 일부 매수해서 계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하다고 생각되네요. 다음 배당락이 가까워지는 시점에 일부 투자를 해 볼 의향이 있습니다. 물론 그 당시에 기업 상황을 기준으로 말이지요.

 

미국 배당주에 관심이 있고 책을 통해서 개념적으로 공부를 하고 싶다면 아래 책을 추천합니다. 아래 책을 읽고 이 글을 작성하고 있으며 개인적으로는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2023.11.13 - [독서노트] - [독서노트] 배당주로 월 500만 원 따박따박 받는 법 (김수현)

 

[독서노트] 배당주로 월 500만 원 따박따박 받는 법 (김수현)

보유할 땐 현금흐름을, 매도할 땐 시세차익을! 금리가 오르면 시장에는 유동성이 줄어들어 시세차익을 노리는 주식 투자는 어려워지게 될 것이다. 그렇다면 증시가 다시 살아날 경우 배당주 투

readerwriterb.tistory.com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