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

[주식] 미국 배당주 종목 분석 '레겟 앤드 플랫 Leggett&Platt (LEG)'

by 리더라이터 2023. 12. 4.

레겟 앤드 플랫 Leggett & Platt (LEG)

 레겟 앤드 플랫 Leggett & Platt은 1979년 6월 25일에 NYSE(뉴욕증권거래소)에 상장 된 가정용 내구재 및 주택 건설 종목으로서 주요 사업은 건설, 건축관련입니다.

 미국 기업으로 다양한 산업 분야에 제품과 서비스를 제공하는 글로벌 기업으로 본사는 미주리주 카네이디지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크게 세 가지 사업 부문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먼저 Bedding Products (침대 제품)으로 침대 및 수면 관련 제품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침대 프레임, 스프링, 매트리스 및 다양한 침실 솔루션을 제공하여 소비자들에게 편안하고 품질 높은 수면 제품을 제공합니다.

 두 번째로는 Specialized Products(전문 제품)으로 자동차, 가구, 패션, 포장 및 산업 분야를 중심으로 다양한 제품을 개발 및 생산하고 있습니다. 이는 소비재 시장에서의 혁신적인 솔루션을 통해 다양한 산업에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세 번째로는 Furniture, Flooring & Textile Products(가구, 바닥 및 직물 제품)으로 가구 및 가구 부품, 바닥재, 텍스타일 및 섬유 제품을 제공하여 가정 및 상업 시장에서의 다양한 요구를 충족 시킵니다.

 

 

 

https://leggett.com/

 

Leggett & Platt®

Leggett & Platt® enhance people’s lives worldwide by designing and manufacturing innovative, distinctive products and components for use in bedding, furniture, seating, homes, offices, airplanes, and automobiles.

leggett.com

 

 

배당 정보

 

 

 레겟 앤드 플랫의 배당정보에 대해서 알아 보도록 하겠습니다.

 배당 수익률은 7.7% 입니다. 배당주 투자에 있어서 아마 대부분 먼저 확인하는 지표일텐데 일단 고배당주에 속하는 매력적인 종목입니다. 다만 이 수치만 믿고 투자할만한지는 뒤에서 더 상세히 다루도록 하겠습니다.

 배당금은 1.84 달러입니다. 레겟 앤드 플랫 종목 1주를 1년동안 가지고 있을 때 받을 수 있는 배당금입니다. 배당금 자체만으로는 투자할 만한 요소인지 파악하기는 힘드니 조금 더 살펴보시죠.

 배당성향은 118.42% 입니다. 배당주 종목을 분석하고 투자하면서 드디어 교과서 사례를 보게 되네요. 배당성향은 어떤 기업이 일정 기간에 기록한 당기순이익 중에서 주주에게 지급된 배당금의 총액의 비율입니다. 현재 LEG의 배당성향은 118.42%인데 이는 100을 벌었는데 118을 주주들에게 나누어주겠다는 것입니다. 기업에서는 벌어들인 수익의 남은 금액으로 주주들에게도 환원하고 더 나은 수익을 위해 투자도 해야 하는데 빚내서 주주들에게 배당금을 주고 있는 셈입니다. 배당성향이 100% 넘는 사례는 공부하면서 처음보다보니 신기하네요. 하지만 배당주 투자 종목으로는 매력도가 떨어지지만 공부를 하는 입장이니 더 살펴보겠습니다. 

 배당 성장은 3.99%입니다. 5년을 기준으로한 수치인데 당장 배당은 빚을 내서 주고 있지만 배당금은 지속적으로 늘려오고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배당 성장은 50년간 지속되어 왔네요

 최근 배당공지를 보겠습니다. 2023년 12월 14일 배당락 예정으로 2024년 1월 12일에 0.46 달러가 지급될 예정입니다. 분기배당이며 레겟 앤드 플랫은 1월 배당주, 4월 배당주, 7월 배당주, 10월 배당주에 해당되겠네요. 포트폴리오 구성 시 참고 바랍니다. 

 

 

 

 

 

배당 수익률 Dividend Yield

 

 배당 수익률에 대해서 상세히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배당수익률은 주가에 비해 배당금을 얼마나 많이 주고 있는지를 의미합니다. 위의 그래프에서 보면 점점 배당수익률이 높아짐을 보실 수 있는데요. 이는 배당금이 크게 상승하고 있거나 주가가 크게 하락하고 있음을 추측할 수 있습니다. 주가 변동에 의해서 수익률은 달라지기 때문에 위의 데이터에서도 동일 년도에 배당 수익률이 여러가지로 표현되고 있습니다. 연말 수익률, 평균 수익률, 최대 수익률, 최저 수익률로 나타내고 있지만 저희는 추세를 확인하기 위해 평균 수익률을 기준으로 보겠습니다. 2013년도에 3.92% 배당수익률이 2023년 현재 6.08%로 확인됩니다. 전반적으로는 2~6%의 배당수익을 형성하고 있네요. 배당수익률 자체만으로는 고배당이기 때문에 관심을 두고 살펴볼 수 있겠습니다만 위에서 배당성향이 100%를 넘어가기 때문에 장기적으로 투자하기는 어려워 보이네요

 

 

 

 

배당 성장률 Dividend Growth

 

 

 배당성장률을 확인해보겠습니다. 배당성장률은 일정 기간 동안 주당 배당금이 얼마나 늘어났는지를 의미합니다. 위의 자료에서도 2013년 1.18 달러의 배당금이 2022년도에 1.74 달러로 증가함을 볼 수 있고 CAGR도 3~4%를 유지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CAGR은 Compound Annual Growth Rate로 어떤 시점에 투자를 시작했다면 그 투자로 인한 배당금까지 재투자했을 때 현재까지의 연 평균 수익률이라고 이해하시면 됩니다. 연평균 꾸준히 3~4%를 성장했다면 예금보다는 나은 투자결과를 얻을 수 있는 수준이라고 판단됩니다. 

 

 

Price & Dividend History

 

 

 배당금과 주가를 비교해보겠습니다. 배당금은 조금씩 상승하고 있고 주가는 조금씩 내려가는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배당수익률은 배당금을 주가로 나눈 비율이기 때문에 배당금은 상승하고 주가가 하락하니 배당수익률이 높아질 수 밖에 없네요

 

 

 

 

매출 및 영업이익

 

 주식 종목으로서의 기업 분석 시 가장 기본은 실적이겠죠. 대표적으로 매출과 영업이익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왼쪽 그래프가 매출, 오른쪽 그래프가 영업이익입니다. 2013년부터 2022년까지 매출은 전반적으로 우상향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고, 영업이익은 횡보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네요. 매출과 영업이익이 급격한 하락세는 아닌데 빚을 내면서 배당을 해주고 있다면 어떻게 해석해야 할까요? 다양한 이유가 있겠지만 다른 부분에서 까먹고 있다는 이야기가 될 수 있습니다. 

 

 종합적으로 의견을 드려보겠습니다. 먼저 배당수익률을 기준으로는 현재 약 7% 수준으로 고배당이라고 판단됩니다만 배당성향이 100%가 넘고 주가가 계속 하락하고 있다는 점에서 장기적인 배당주 투자로서는 매력이 부족하다고 판단됩니다. 아무래도 기업의 실적이 좋고 튼튼하면서 배당을 안정적으로 주는 종목이 또 있을것이기 때문에 현재 불안정하게 LEG를 들어갈 타이밍은 아니라고 생각이 드네요. 물론 투자를 함에 있어서 기준이 개인적으로 다르기 때문에 다른 측면에서는 또 유리하다고 판단되는 부분이 있을 수 있습니다. 

 

미국 배당주에 관심이 있고 책을 통해서 개념적으로 공부를 하고 싶다면 아래 책을 추천합니다. 아래 책을 읽고 이 글을 작성하고 있으며 개인적으로는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2023.11.13 - [독서노트] - [독서노트] 배당주로 월 500만 원 따박따박 받는 법 (김수현)

 

[독서노트] 배당주로 월 500만 원 따박따박 받는 법 (김수현)

보유할 땐 현금흐름을, 매도할 땐 시세차익을! 금리가 오르면 시장에는 유동성이 줄어들어 시세차익을 노리는 주식 투자는 어려워지게 될 것이다. 그렇다면 증시가 다시 살아날 경우 배당주 투

readerwriterb.tistory.com

 

댓글